NINAV PRO

1관문 - 단원 개관
선택
트라이~반숙
원정대 200↓
로스트아크학 개론


-2023-7월 기준, 발탄 하드에는 1445~1600 레벨까지 다양한 APL(Average Party Level, 평균 파티 레벨)이 존재하며 이에 비해 발탄의 Lv은 1445로 매우 낮은편이다.
-따라서, 대부분의 파티는 하급 기믹과 하급 패턴을 무시하는 '딜찍'을 하게된다.
-이에 따라 본 공략은 '딜찍'으로 진행하며 APL 1475 이상을 가정한다. 다음은 가볍게 참고만 하자.

 • 보스(늑대)의 색과 이름을 외울 필요는 없다.
 • 보스 초기 분열 과정은 별 신경 쓸 필요 없으며 7시에 모여 있으면 된다.
 • 보스가 난입해서 두 늑대와 싸울 때가 있는데 별 신경 쓸 필요없다. (APL 1490+)

 • 필수 패턴-'8각형 구슬먹기'의 트리거인 30줄, 15줄 숫자는 못외워도 좋다. (※암기법: 30의 반은 15)
 • 필수 패턴-두번째 '8각형 구슬먹기'의 시작 직전에 보스가 하늘색 얼음 표창 폭탄을 날리는데, 그림의 ★ 별표 위치와 너무 먼데서 얼지만 않으면 별 위협은 안된다. 스페이스바로 최대한 피해주자.
 • 필수 패턴-'8각형 구슬먹기' 수행중, 구슬 먹기 이전에 무력 스킬 날리는건 효과가 거의 없고 스킬 쿨다운만 생기므로 하지않는다.

 • 보스의 하급 패턴은 매우 거슬리며 에어본 패턴 남발로 딜로스를 유발하지만, 포지션을 보스 백어택 자리로 항상 옮겨다니면서 서폿의 케어로 대부분 무시 가능하다.
 • APL이 너무 높아서(1560+) 보스 체력을 아주 빠르게 깎아 30줄, 15줄 밑으로 간다고 해도, 해야했던 8각형 패턴을 스킵없이 곧 시작한다. (ex: 32줄에서 순식간에 11줄이 돼도 30줄 기믹 진행후, 곧 15줄 기믹 진행)

발탄 1관문 8각형
1-a. 입장전 정비소 8각형 자리 배치
필수
트라이~클경
원정대 100↓


-입장전 정비소 8각형 자리 배치는 필수이며, 확실하게 모든 캐릭터가 꼭짓점 자리에 서는게 좋다.
-하지만, 처음 만난 8명이 완벽한 8각형을 그리는건 힘들어 보이며, 최소한 윤곽은 잡고 들어가야한다.

1-b. 입장전 정비소 8각형 자리 배치(직업별)
선택
트라이~반숙
원정대 225↓


-그림의 동선을 잘 관찰해보면, 1~4번 까지는 무력 동선이 짧은것에비해, 5~8번은 동선이 길다는 것을 확인 가능하다.
-즉, 1~4번은 빠르게 긴 시간 동안 무력 콤보가 가능하고, 전체 무력화 기여도가 높다.
-따라서, 무력화 높은 직업 순서로 1번부터 배치하면 좋다.

2-a. 8각형 자리 공통 공략
필수
트라이~클경
원정대 100↓


-기믹 시작 확인은 1. "통솔자 루가루가 붉은 결속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시스템 메시지와 동시에 2. 보스 중앙 이동후 포효하는 소리로 확정짓게된다.
-모든 자리의 파일럿들은 다음과 같은 프로토콜을 따르게된다. (공대장 제외)
-기믹 시작 → 초기 대기 위치로 이동후 대기(그림의 별표★ 위치) → 그림의 이동 궤적을 따르며 구슬을 드리블 → 드리블하며 이전 번호의 구슬이 먹히는지 추적 → 이전 구슬 먹힘 확인 → 자신의 구슬 먹음 → 무력 위치로 가서 무력 콤보

2-b. 8각형 자리별 공략
선택
트라이~반숙
원정대 150↓


★ 1번 자리
-초기 대기 위치는 그림의 보라 별표로, 다른 자리와 다르게 오직 1번 자리만 '대기위치=꼭짓점'이 성립한다.
-공대장은 누구보다 빠르게 1번 자리를 선점하는게 좋다. (2~3번 가능, but 비추천, 4~8번도 비추천) 그 이유는 구슬을 바로 먹고 공대장 스킬 '웨이'를 구슬에 제약받지않고 빠르게 쓰기 위해서이다.
-공대장에게 2~3번 자리를 비추천하는 이유는 구슬과 웨이를 파일럿의 머릿속에서 동시에 처리하는 시간이 조금이라도 길어지기 때문이다.

-1번이 공대장이고, 첫번째 8각형 기믹(30줄)이라면, 구슬 먹음 → 무력 콤보 (1475+ 파티 기준, 보통은 웨이 안찼을 확률 높음)
-1번이 공대장이고, 두번째 8각형 기믹(17줄)이라면, 구슬 먹음 → 보스에게 살짝 다가가 웨이(Ctrl + X, 중간 위치 에스더) → 무력 콤보
혹은, 보스 무력바 뜨는 타이밍에 맞춰 웨이 → 구슬 먹음 → 무력 콤보
-1번이 공대장이 아니라면, 30줄, 17줄 모두 구슬 먹음 → 무력 콤보
※ 1번 자리는 보통 공대장이 맡고, 공대장은 언제나 실수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난이도는 높다.

★ 2번 자리
-초기 대기 위치는 그림의 초록 별표로, 8각형의 외부가 아닌 내부를 권장한다.
-파일럿은 시선을 1번 구슬에 두면서 동시에, 자신의 구슬도 신경쓰도록 한다.
-1번이 구슬을 먹은것을 확인 → 구슬 먹음 → 무력 콤보
※ 2번 자리는 딱히 구슬 드리블이 필요없고 전 번호 구슬 추적도 필요 없어서 난이도가 낮다.

★ 3번 자리
-초기 대기 위치는 그림의 연초록 별표이나, 구슬을 안쪽으로 약간 드리블해야 한다. (※그림 오류, 4번 궤적으로 대신 참조)
-파일럿은 시선을 2번 구슬에 두면서 동시에, 자신의 구슬도 신경쓰도록 한다.
-2번이 구슬을 먹은것을 확인 → 구슬 먹음 → 무력 콤보
※ 3번 자리는 약간의 드리블이 필요하고 전 번호 구슬 추적위치가 바로 위이므로 난이도가 낮다.

★ 4번 자리
-초기 대기 위치는 그림의 연초록 별표로 표시해놨으나, 아직 확실하지않다. 8각형 외부에서 시작도 고려해봐야한다.
-구슬 드리블 시간이 은근히 길어 충돌 위험이 있다. 안쪽 드리블시, 중앙 무력인원에 구슬 충돌 위험이 있어서 11시나 6시로 방향을 꺾을때 더 위험하고, 전 번호 구슬인 3번이 시야에서 사라질 경우, 보스 디버프 스택수를 볼 줄 알아야 한다. (보스 디버프 스택수 3(=4-1)일때 구슬 먹으면 된다.)
-8각형 외부 시작해서 5시로 드리블시, 공간이 충분한지는 불분명하다.
-파일럿은 시선을 3번 구슬에 두면서 동시에, 자신의 구슬도 신경쓰도록 한다.
-3번이 구슬을 먹은것을 확인 → 구슬 먹음 → 무력 콤보
※ 4번 자리는 은근히 드리블이 꼬일 위험이 높고 5번과 중앙 무력인원에 충돌 위험이 있다. 난이도는 높다.

★ 5번 자리
-초기 대기 위치는 그림의 보라 별표로, 8각형의 내부가 아닌 외부로 구슬 유도할 준비를 한다. (내부는 공간 부족) 그림의 궤적과 다르게 왼쪽으로 갈 경우, 불안정한 6번과 충돌할 위험이 있으니 반드시 그림의 궤적을 따르길 권장한다.
-파일럿은 시선을 4번 구슬에 두면서 동시에, 자신의 구슬도 신경쓰도록 한다. (구슬 시야에서 놓쳤다면 보스 디버프 스택수 4(=5-1)일때 구슬 먹음)
-4번이 구슬을 먹은것을 확인 → 구슬 먹음 → 무력 콤보
※ 5번 자리는 드리블 시간이 길고 전 번호 구슬이 시야에서 사라질 위험이 있으므로 난이도는 약간 높다.

★ 6번 자리
-초기 대기 위치는 그림의 분홍 별표로, 이동 궤적 왼쪽에 그림과 같이 벽이 붙어있어 방해되므로 주의한다. 그림과 다르게 7번의 궤적을 따라 위로가며 8각형 내부 공간을 활용하면 왼쪽 벽에서는 자유롭지만, 그림과 반대 궤적을 따르는 7번이나 8번과 충돌 위험이 있으므로 권장하지 않는다.
-파일럿은 시선을 5번 구슬에 두면서 동시에, 자신의 구슬도 신경쓰도록 한다. (구슬 시야에서 놓쳤다면 보스 디버프 스택수 5(=6-1)일때 구슬 먹음)
-5번이 구슬을 먹은것을 확인 → 구슬 먹음 → 무력 콤보
※ 6번 자리는 드리블을 왼쪽 벽이 방해하며 전 번호 구슬이 시야에서 보통은 사라지고, 5번이 왼쪽 궤적 탈 경우 대처하기 힘들다. 난이도는 약간 높다.

★ 7번 자리
-초기 대기 위치는 그림의 빨강 별표로, 이동 궤적 위쪽의 공간은 넉넉하지만 전 번호 구슬인 6번이 시야에서 보통은 사라지므로 보스 디버프 스택수를 볼 줄 알아야 한다.
-파일럿은 자신의 구슬만 신경쓰며 보스 디버프 스택수 6(=7-1)일때 구슬 먹으면 된다.
-6번이 구슬을 먹은것을 확인 → 구슬 먹음 → 무력 콤보 (7번은 위치상, 무력 약한 딜러라면 그냥 백어택해도 무방함)
※ 7번 자리는 드리블 시간이 길지만 이동 공간은 넉넉하고 6번, 8번과 충돌 위험도 별로 없다. 보스 디버프 스택수를 볼 줄 알아야 한다. 난이도는 중간이다.

★ 8번 자리
-초기 대기 위치는 그림의 연분홍 별표로, 이동 궤적 공간은 넉넉하지만 전 번호 구슬인 7번이 시야에서 보통은 사라지므로 보스 디버프 스택수를 볼 줄 알아야 한다.
-파일럿은 자신의 구슬만 신경쓰며 보스 디버프 스택수 7(=8-1)일때 구슬 먹으면 된다.
-7번이 구슬을 먹은것을 확인 → 구슬 먹음 → 무력 콤보 (8번이 무력하기 전에 보통은 무력화가 끝나는게 정상 파티이며, 리트시 회오리 수류탄과 무력 직업별 위치 재배열 고려)
※ 8번 자리는 드리블 시간이 가장 길지만 충돌 위험은 거의 없다. 보스 디버프 스택수를 볼 줄 알아야 한다. 난이도는 중간이다.

2-c. 무력화 헤드에서 진행하는 이유
선택
모든 파티 숙련도
원정대 300↓
로스트아크학 개론


-보스 무력화를 헤드쪽에서 하는 이유는 헤드어택에 무력화 10% 보너스가 있기 때문이다.
-참고로 모든 헤드쪽 일반 공격에 무력화 보너스가 있는것은 아닌듯하며, 헤드어택이 달려있는 스킬에만 보너스가 적용되는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헤드어택 비중이 매우 낮은 '타격의대가' 딜러등의 경우, 어느 각도에서 때려도 무방하다.
※헤드어택 무력화 수치 관련 Official에 대해서는 이곳(2020-08-12, 시즌2 패치)을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