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0 입장전 파티조합과 만찬 도핑
• 딱히 비선호 클래스는 없지만, 소서, 건슬, 스커 등의 하위 무력딜러들로만 모집하면 128줄 무력화에서 1번 정도 리트가 날 수 있으니 회수 비율을 높게 조정하자.
• 딱히 일부러 만찬 도핑할 필요는 없다.
00:00 입장전 쫄몹
• 길가의 쫄몹들을 잘 관찰하면, 가끔씩 안죽여도 혼자 빙그르 돌면서 터질때가 있는데, 모든 몹들을 안건드리고 빠르게 터트리는 방법이 있는지 HQ는 알아보고 있으며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00:00 입장전 정비소
• 배템 세팅만 하면 된다. 딜러는 아드암수/아드회수 선택, 서폿은 암수각물/회수각물 선택. 나머지 하나는 성부 추천.
00:00 첫 조우 (First Encounter)
• 첫 조우시 쿠크가 기지개를 피며 4초의 프리딜 시간을 확정적으로 준다.
• '첫 조우 선공 압도 이론'에서 늘 제안하듯이, '아드암수+서폿 공증' 선공으로 빠르게 기선제압에 들어가며 15초 안에 128줄 진입, 쿠크가 맵에서 한발짝도 못움직이게 움직임을 원천 봉쇄하자. 주의할 점은 암수를 들었다면 회수가 없기때문에 128줄 무력 실패율이 높아진다. 따라서, 무력 스킬 최소 한 개는 남겨놓는걸 권장한다.
• 머리 위 카드는 상황이 닥쳤을때 봐도 별로 늦지않다. 굳이 처음부터 신경 쓸 필요 없고 외울 필요도 없다. 따라서 딜찍 콤보에 더 집중하자.
00:15 128줄 (보라 방패 반사 무력화) - 뎀감X
• 은근히 악랄한 스킵불가 패턴으로, 성공률은 APL과 별 상관없고 직업 조합, 무력 세팅, 회수 비율 등의 영향을 받는다. 만약 응급 상태인데, 모든 8개 스킬과 배템이 쿨다운이라면, 각성기(V)에 마지막 희망을 걸어야한다.
• 뎀감이 없으므로 딜스킬을 무력에 써도 이론상 딜로스가 거의 없다. 또, 첫 조우 아드암수를 스킵하고 128줄에 써서 암수의 무력을 더하는 전략이 있으며, 연구과제로 적합해 보인다.
• 패턴 진입시, 주위에 ☆모양 마법진 선이 그려지는데 이 선 위에 있으면 에어본으로 생각됐지만 별 영향 없는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에어본 피하려고 무력 콤보를 스페이스바로 끊을 이유는 없어보인다.
• 무력이 성공적으로 끝났다면 놀랍게도 무려 7초 동안 쿠크가 그로기에 빠지고, 다시 프리딜 타임을 갖게된다. APL 1600+이라면, 여기서 확실하게 쿠크를 끝낼 수 있어보인다.
00:50 0~100줄 (하트 핑)
• 진입 트리거는 100줄 밑으로 깎였다고 무조건 바로 시작하는건 아니며, 쿠크가 쓰고싶었던 짤패턴 2~3가지를 보여주고 진입할 수도 있다.
• 만약 128줄에서 파티원이 반사데미지로 사망했을 경우, 21:9 모드로 12시나 6시 정 가운데에서 두개의 쿠크를 마크하는게 이론상 충분히 가능하다.
• 하트 핑 찍은후, 퀴즈 정답 방향을 봐야 하는데, 해당 방향으로 마우스 왼쪽 평타 단 한번만 클릭하고 안 건드리면 된다. (불안하면 여러번 클릭)
• 패턴이 끝나면서 쿠크가 재등장하는 정확한 위치는 패턴 시작 직전 쿠크가 사라질때의 위치와 같고 헤드방향은 아마도 캐릭터 추적형으로 생각되는데, 재등장하면서 헤드가 순식간에 돌아가니, 사멸은 딜로스에 주의하자.
01:10 0~88줄 (댄스타임)
• APL 1580+ 기준 거의 확실한 스킵이 가능하고, 패턴 시간도 무려 50초이므로 반드시 스킵시도를 해보자.
• 패턴 도중, 바닥에 옆구리 대고 한 발 들어서 돌리는 모션의 키보드 위치만 머릿속에 넣어두면 다른 모션과 구별점이 뚜렷해서 패턴 파훼가 쉬워진다.
• 대부분의 APL 1580+ 딜찍 파티는 늦어도 댄스타임 직후에서 쿠크를 마무리해서 다음 패턴인 60줄 '보라 방패 반사 무력화'를 안보게된다.
십자형 광기 구슬
• 광기 구슬이 생기는 정확한 트리거는 광기 게이지 50%를 넘는 순간이다. 따라서, 챌린저는 역으로, 쿠크의 강제 딜컷 패턴(ex: 사라지기)에 맞춰서 일부러 트리거를 건드리는 등의 전략을 펼칠 수 있어보인다.
• 광기 구슬이 터질때 생기는 레이저는 아마도 주변 캐릭터 추적성은 없는 것으로 생각되며, 챌린저는 마우스 클릭으로 방향조절하면서 파티원 옆에서 빠지지않고 딜로스없이 콤보 진행 가능할 수 있어보인다.
입에서 불뿜으며 불고리 소환
• 이 패턴에 같이 등장하는 서커스 불고리에는 가만히 서서 불을 내뿜는 고리(Type-S, Stationary)와 이동하기만 하는 고리(Type-M, Moving) 두가지가 있는데 Type-M에 피격시, 광기 게이지는 7~9% 정도 차는 것으로 보이고, 불타는 디버프가 5초(표기상 4초)로 갱신된다.
• 쿠크가 불뿜은 직선형 자리에 소서리스 블레이즈와 똑같이 생긴 불장판이 생겨서 소서리스 파일럿과 파티원들은 아군의 장판으로 착각할 수 있다. 이 직선형 장판에 닿으면 한틱에 광기 게이지 3~5% 정도 차며, 역시 불타는 디버프가 5초로 갱신된다.
• 불타는 디버프의 도트뎀이 체력비례인지, 절대데미지인지는 아직 불분명하다. (연구과제) 또, 도트뎀에 따른 광기 게이지는 안차는 것으로 보인다.